Root Project
[Comma] ROOT Project RA Report
By tokenbank |
Apr 06. 2018
| 15523 read
토큰정보
토큰 - ROOTS가격 - 1USD = 88.5 ROOTS허용 암호화폐 - ETH(+토큰뱅크 CTR, 코인레일 BTC 허용)총 발행량 - 10,000,000,000 ROOTS
최소 투자 금액 - 0.1ETH, 개인캡 30ETH하드 캡 - 3,600ETH (토큰뱅크, 코인레일 합)국적 - USDIDEA
RootProject는 공익과 암호화폐의 결합을 목표로하는 비영리목적의 탈중앙화 생태계입니다. Nonprofit Feedback Loop라는 가치
순환모델을 기반으로 지역사회,빈곤층,투자자들의 자산가치 상승을 추구합니다.크라우드펀딩 제안자는RootProject에 프로젝트와
함께 이를 실행할 단체를 제안하고 모금이 끝나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노동을 사회빈곤층의 일자리로 공급합니다.노동의 수당을 현금
(원화)로 지급하고,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Roots Token을‘추가로’연금형식으로 약2-4년 후 지급합니다.프로젝트 활성화 정도,
노동자의 연금액이 증가함에 따라Roots Token의 가치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전통적인 크라우드 펀딩과 다르게 제안자가
모든 일을 구상하고 처리해야 할 부담이 없으며(Laborless)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이 주어집니다(취약계층에게 일자리 지원되기 때문).
진행과정과 자금집행의 투명성이 중요하고 최근들어 더욱 이슈가 되는 분야가 기부,크라우드 펀딩이기에 블록체인 기술과의 결합이
예상가능했고,루트프로젝트 역시 많은 경쟁자를 상대해야 할 것입니다.TEAM
공동설립자 중 한명인Chris Place는Prepd와 미국의 유명 시드 엑셀러레이터의Y Combinator의 공동 창립자입니다.또다른
공동설립자Dr. Nicholas Adams Judge는Revolution Analytics출신의 빅데이터 프로그래머이며 정치경제학 박사입니다.이외에도
Oliver Wyman, IBM등 유명기업 출신의 팀원들이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투자자,커뮤니케이션,전략파트너,고문 담당을
두고 있습니다.특이점으로는 한국인 파트너쉽 디렉터 한성민,한국 마케팅 담당 김찬미가 소속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파트너쉽 등 한국에
비중을 주고 있습니다.
ADVISOR &
PARTNER
어드바이저Garret Macdonald는2012년 블록체인 기업Cognitive를 설립한 마이닝 산업의 선두주자입니다.어드바이저Alex
Yamashita는 골드만삭스 출신의 재무 전문가이며,암호화폐 마케팅 및 투자기업인TLDR의Founding Partner입니다. Christopher
Haymann은 초기 암호화폐 엔젤펀드 출신의 엔지니어로,세 명의 어드바이저들은RootProject에게 블록체인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조언을 제공할 것 입니다.현재 파트너사로 한국의 크라우드 펀딩 기부 플랫폼‘더 브릿지’가 있으며 이미 한국내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였습니다.네임밸류 효과를 기대할 어드바이저 및 파트너라기보다는RootProject가 필요로 할 조언 및 협력을 기대할 수 있는
관계입니다.주목할만함 것은 이더리움 컨센시스의BSIC(Blockchain for Social Impact Coalition)의 일원이라는 점으로,이더리움의
이름이 투자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으며BSIC의 다른 프로젝트들과의 협력도 가능합니다.센트라(CTR)와의 파트너십은 토큰의
유동성을 증대시켜줄 것이며 한국의 프로젝트NPER와도 공익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서 파트너 관계에 있습니다.
MARKETING
기존에는 해외에서의 마케팅에 중점을 두고 소통해왔으며1차 프리이빗 세일이 성황리에 종료되었음에도(초기 목표량의512%)한국 내
마케팅은 부족한 편이었습니다.하지만2018년3월 토큰뱅크를 통한 한국 토큰세일을 앞두고 국내 마케팅에 박차를 가해 카카오톡
오픈채팅 인원이500명 가까이 성장하였습니다.하지만 해외발 프로젝트이며 비영리목적이라는 특성상 여전히 추가로 마케팅이
필요하며,현재 토큰포스트, BRP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많은 밋업과 미디어 홍보를 진행중입니다.구글과 유튜브의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광고 중단 선언이 있었지만 유튜브에 영상광고를 성공적으로 내보내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중입니다.
TOKEN
ECONOMY
루트토큰은 발행량이 많은 만큼 수요처도 다양합니다. 7%를 프로젝트 제안자에게 인센티브로 지급하고,
31%의reserved포션에서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노동자에게 보너스 임금으로 지급합니다.비영리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루트토큰이지만 투자자들의 자산가치상승을 위한 모델 역시 준비되어 있습니다.모금된
프로젝트 비용의10%는 시장의 루트토큰 구입에 다시 사용되어2년간의 락업이 걸리게 되며,노동자에게
주어지는 임금 역시2년 이상의 락업이 걸려 연금처럼 지급됩니다.프리세일 보너스40%분량 역시90일의
락업이 걸리게 되어 토큰의 덤핑,가격하락을 예방합니다.루트프로젝트의 모금 플랫폼이 활성화 되어 루트
토큰의 수요가 늘어날수록 락업으로 공급이 줄어드는 효과 역시 일어나 가격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GENERAL
REVIEW
크라우드 펁딩,그 중에서도 자선기금에 투명성이 필요하고 그 부분에 블록체인 기술이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은 전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닙니다.모금과 관련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다양한 분야에 대해 진행중이며 루트프로젝트의 잠재적 경쟁자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이에 대해 루트프로젝트가 가지는 우위는 기술적 우위나 전혀 새로운 발상에서 나오는 이점은 아닙니다.이더리움 컨센시스가
주는 네임밸류와 함께 더 브릿지와 이미 실제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는 점,그리고 한국 내 정착을 위해 많은 파트너들과 함께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는 점이 현재 루트프로젝트의 가장 큰 무기입니다.창립자Chris Place가 세운Prepd가 근래Amazon의
메인 페이지 동영상에서 언급되고,유튜브 광고,넷플릭스 촬영에 등장하는 등 토큰세일을 앞두고 긍정적인 마케팅 활동들이
관찰되었습니다.
비영리 프로젝트라는 꼬리표가 투자자들에게‘수익성’측면에서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합니다.따라서 루트프로젝트의 서비스가 실제로
런칭되고 활성화되었을 때 투자자에게 수익이 돌아가는 프로세스에 대한 설득이 필요합니다. Dr.Judge가 미디움에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써온 글에는 루트프로젝트의 순환모델과 투자자들이 얻을 이익들이 잘 설명되어 있음에도 아직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거나
알기쉽게 설명해준 자료가 부족합니다.한국에 파일럿 시티를 지정하고 한국ICO,지사,마케팅 담당을 따로 두고 있는만큼 한국에서의
토큰세일 성공이 로드맵의 중요 지점이 될 것입니다.이후 기관과의 협조,실제 프로젝트의 성공과 홍보 등 투자자와 블록체인 업계,모금
및 봉사단체들에게 어필할 추가적 호재가 기대됩니다.
5
2
* Written questions can not be edited.
* The questions will be answered directly by the token team.